<2021년 동향>금년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들은 대내외 수주 호조 및 기저효과 등으로 지난 해에 비해 크게 개선, 물가는 하반기부터 생산자물가를 중심으로 크게 폭등
<2022년 전망>중국 정부의 경기 대응 등으로 2022년에도 회복세가 이어 지겠지만 기업 규제 및 기저 효과 축소 등으로 올해에 비해 올해에 비해 둔화된 4%대 후반의 성장을 예상(21년 7.8%>22년 4.8%)
<관심포인트>헝다사태로 인한 부동산시장 위축 여부에 가장 주목하고, 그 밖에 주요국과의 통화정책 괴리와 미중 갈등 등이 중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하여도 관심을 가질 필요
위 내용을 설명하는 아래 첨부자료는 <국제금융센터>의 발표 내용을 옮겨온 것이다.
2021.12.24일
<아판티와 함께하는 중국금융 산책>
'중국龍 이해하기 > 중국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는 경제성장 첫째 동력" 소비 총동원령 떨어진 중국 (0) | 2022.01.18 |
---|---|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와한·중 간 직접투자 (0) | 2021.12.30 |
한•중•일 참여 거대 경제권 탄생 (0) | 2021.12.02 |
중국의 공동부유 추진과 플랫폼 대기업 규제 (0) | 2021.11.30 |
중국의 CPTPP 가입 신청 배경 및 향후 전망 (0) | 2021.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