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龍 이해하기/중국 문화 80

돈보다 중요한 것은?

부동산 투자로 큰 부를 이룬 지인이 얼마 전 모건 하우절의 『돈의 심리학』(2021)을 추천했다. 읽을까 말까 고민하는 중에 ‘당신은 왜 부자가 되지 못했는가?’라는 부제가 눈에 들어온다. 안 읽어볼 수가 없다. 그런데 책을 읽고 나서 얻은 것은 주식 투자 꿀팁이나 금융 흐름을 읽는 안목이 아니었다. 나도 부자가 될 수 있을까 해서 읽었던 책이 오히려 지금 삶에서의 자족을 가르쳐줬다. 저자는 책에 실린 부록 「나의 아이들에게 보내는 금융 조언」에서 이렇게 말한다. 돈이 주는 가장 큰 배당금은 네 시간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능력이다. 네가 원할 때, 원하는 일을,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사람과 함께, 원하는 만큼 오래 할 수 있다는 사실은 그 어떤 고가의 물건이 주는 기쁨보다 더 크고 더 지속적인 행복을..

중화루 중화요리점의 알려지지 않은 역사

인천시 중구 중앙동 1가 18번지(인천 중구 신포로 23번길 101) 에는 현재 대불호텔전시관이 들어서 있다. 전시관의 이름이 싱징하듯 원래 이 자리에는 한국 최초의 서양식 호텔로 인정받고 있는 대불호텔이 자리해 있었다. 하지만 대불호텔은 경인철도 개통 후 수요 감소로 문을 닫았고, 중화루 중화요리점으로서 다시 문을 열어 1970년대 초반까지 영업을 계속하다, 1978년에 해체되었다. 대불호텔 건물은 호텔로서의 역사보다 중화요리점으로서의 역사가 보다 길었다. 년 대불호텔 건물을 빌어 뇌문조가 중심이 되어 중화루를 개업했고, 1922년에는 일본인 호리 리키타로로부터 토지와 건물을 매입한 사실을 고려하면, 1922년 음력 2월 봄에 중화루를 신장개업한 것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인천화교의 입장에서 인천을..

영화 『장진호(長津湖)』는 당에 대한 지지를 강화시킨 걸까?

2021년 중국에서 크게 흥행한 영화 『장진호(長津湖)』는 한국전쟁 중 가장 참혹했던 장진호 전투를 배경으로 중국인민지원군들의 영웅심을 기리는 영화이다. 중국이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것은 ‘항미원조(抗美援朝: 미국의 침략에 저항하고 북한을 돕기 위한 전쟁)'를 위한 것이었다는 주장은 많이 알려져 있다. 중국은 또한 장진호 전투를 가장 중요한 승리라고 주장해왔다. 영화 『장진호』는 중국의 대표적인 주선율(主旋律) 영화다. 주선율 영화는 중국 혁명의 역사 또는 대중의 삶을 주제로 다룬 영화로 대중들의 사회주의 이념과 가치관, 그리고 애국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영화다. 그간 중국은 한국의 전장에서 펼쳐졌던 북∙중연합군과 유엔군 간의 전쟁을 부인하고 미국과 중국의 전쟁으로만 다루어 왔으며, 미∙중관계가 악..

문화의 시작은 문신(文身)?

본래 문신이란 행위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아주 오래전부터 존재해왔다. 동아시아의 경우만 보더라도 문신은 상당한 연원을 가지고 있다. 고대 중국 상(商)나라의 갑골문(甲骨文)이나 주(周)나라의 금문(金文)을 보게 되면, 아래와 같은 형태의 초기 글자 도안을 볼 수 있다. 당시 중국의 상나라나 주나라(특히, 西周) 시대까지만 해도 문신이 보편적이고 일상적이라고까지 말할 수는 없더라도 적어도 아주 특별하고 기이한 행위로 인식되지 않았음은 충분히 유추해볼 수 있다. 들리는 말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 사회에서는 문신을 통해 종족적 정체성 혹은 종족집단 내 신분상의 구별 등을 나타냈다고 한다. 주지의 사실이겠지만, 앞의 두 개 도안은 모두 한자 ‘文(문)’의 초기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文은 본래 몸에 그림을..

청명절과 ‘소묘(掃墓)의 정치

‘코로나 재유행’에 대한 공포가 또다른 봄날의 일상마저 잠식하던 지난 4월 4일은 부활절이자 24절기의 하나인 청명절이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부활절은 서구 기독교적 신앙의 세계관에 따른 ‘율법(신약)의 절기’이고, 청명절은 중국 주(周)나라 때 태양의 운행에 따른 기후변화를 기준으로 태양년(太陽年)을 24등분했던 것이 동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어 정착된 ‘역법(曆法)의 절기’ 중 하나이다. 서로 기원과 의미의 차이가 커 보이지만, ‘봄의 절기’라는 공통성 속에서 어쩌면 ‘고난’과 ‘혹독’한 시기를 이겨내고 ‘새생명’과 ‘좋은 날’을 축원하는 사람들의 마음은 맞닿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상상도 해보게 한다. 농경사회를 위한 ‘역법의 절기’로서 청명절이 현대화된 사회에서 급격한 의미변화를 겪어 온 것은 분..

중국인의 결혼과 술

술, 차, 사탕, 담배, 이 네 가지는 중국인의 일상에서 빠질 수 없는 기호품이다. 영화에서도 이것들은 적재적소에 활용되어 중국인의 희로애락을 표현하고 있다. 주인공이 낯선 사람들과 담배를 나눠 피며 관계를 만들어가고, 고향에서 가져온 술을 건네면서 처의 오빠에게 호감을 사려하고, 주인공 남녀가 달콤한 사탕을 나눠 먹는 것으로 화해를 연상시키는 것 따위가 그것이다. 차는 중국인이 늘상 손에서 놓지 않는 공기와 같은 존재이지만, 그 쌉싸름한 맛 때문인지 이 영화에서는 이혼을 암시하고 있다. 이렇듯 이 네 가지는 모두 중국인들의 인간관계를 상징하며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기호품들이 결혼식 같은 특별한 날에는 더욱 의미가 깊어진다. 그럴 때면 이들 앞에 ‘기쁠 희(喜)’자가..

청명절과 ‘소묘(掃墓)의 정치’ & 백절불구(百折不屈)

‘코로나 재유행’에 대한 공포가 또다른 봄날의 일상마저 잠식하던 지난 4월 4일은 부활절이자 24절기의 하나인 청명절이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부활절은 서구 기독교적 신앙의 세계관에 따른 ‘율법(신약)의 절기’이고, 청명절은 중국 주(周)나라 때 태양의 운행에 따른 기후변화를 기준으로 태양년(太陽年)을 24등분했던 것이 동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어 정착된 ‘역법(曆法)의 절기’ 중 하나이다. 서로 기원과 의미의 차이가 커 보이지만, ‘봄의 절기’라는 공통성 속에서 어쩌면 ‘고난’과 ‘혹독’한 시기를 이겨내고 ‘새생명’과 ‘좋은 날’을 축원하는 사람들의 마음은 맞닿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상상도 해보게 한다. 농경사회를 위한 ‘역법의 절기’로서 청명절이 현대화된 사회에서 급격한 의미변화를 겪어 온 것은 분..

문화의 시작은 문신(文身) & 갑남을녀(甲男乙女)

아마도 필자와 같은 장년 세대 중에 문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우선, 바늘로 몸에 그림을 그리는 자체를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고귀한 몸에 생채기를 내는 매우 불경한 행위로 인식하는 유가적 전통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실제로 몸을 함부로 해하지 않는 것을 효의 시작(身體髮膚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이라고 보았던 공자(孔子)는 문신을 오랑캐의 야만적인 풍습으로 비하하며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둘째, 동아시아 지역에서 문신은 수천 년 동안 형벌로서 기능해왔다. 일명, 묵형(墨刑), 자자형(刺字刑)이라고 해서 죄인이나 노비의 얼굴 등에 영구히 지워지지 않는 글자를 새겨넣는 형벌이다. 이는 달리 경형(黥刑)이라고도 하는데, 우리가 통상 “경을 칠 놈”이라고 할 때의 경..

中 비즈니스 시 기억해야 할 단어… ‘피휘’와 체면 & 회빈작주(回賓作主)

"중국인은 피휘와 체면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관세음보살이 관음보살이 된 이유도 '피휘' 피휘라는 것은 ‘기(忌)휘’라고도 한다. 과거 사람을 부를 때 본명을 직접 부르지 않고 돌려 부르는 관습에서 비롯된 단어다. 구체적으로 과거 사람의 이름을 직접 부르는 것이 도리에 어긋난다고 여겼던 한자 문화권의 인식 때문에 이름 대신 ‘호’와 같은 별명을 붙여 부른 것도 피휘에 속한다. 이런 피휘 문화는 중국에서 시작됐는데 과거에는 특히 글자가 겹치는 것을 극도로 기피한다는 ‘피휘자(字)’ 문화가 강했다. 예컨대 유방(劉邦)이 한나라를 새우면서부터 나라 이름에는 국(國)자가 쓰였다. 최 작가는 “유방의 이름에 들어간 ‘방’자가 사실 과거에는 나라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한자였다”며 “그런데 이 ‘방’자가 유방의 이름..

[중국 상인]‘비단장수 왕서방’을 키운 재물신과 상방 문화 & 철중쟁쟁(鐵中錚錚)

‘비단장수 왕서방’은 오랜 시간 각인된 중국 상인의 대명사로 쓰인다. 이 말에는 돈을 밝히는 중국인에 대한 조롱의 의미가 담겨있지만 중국인의 돈 버는 수완이 뛰어나다는 긍정적인 의미도 크다. 뛰어난 상술을 자랑하는 중국 상인에는 기원전부터 시작하는 수천년의 역사가 배어 있다. 중국을 세계적인 경제 대국으로 이끈 이들이 상인이라는 말이 과언이 아닌 셈이다. 중국에는 유명한 재물신이 여럿 있다. 이 중 중국 곳곳에 위치한 도교사원에서 재물과 행운을 가져다 달라며 중국인들이 숭배하는 신은 비간(比干)과 조공명(趙公明), 관우(關羽)다. 이들은 문(文)재물신과 무(武)재물신으로 나뉘는데 비간이 문재물신이고 무재물신은 조공명과 관우다. 비간은 중국 고대 왕조인 상(商)나라 시대 인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다소 생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