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는 코로나19 장기화와 변이 바이러스의 유행, 그리고 이를 잡기 위한 엄격한 방역정책 등으로 소비시장이 크게 위축되며 소비 주도의 경제회복이 점차 둔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경제회복을 견인하는 최종 소비의 경제성장률 기여도는 2021년 1분기 9.8%에서 2021년 4분기 3.4%로 떨어졌다.
보고서는 “올해 중국은 엄격한 코로나 방역체제를 유지하는 한편 소비시장 진작을 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뒤따를 전망”이라면서 “올해 중국 소비시장 5대 키워드인 공동부유, 탄소중립, 신형 소비, 비대면 서비스, 중국형 메타버스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선영 무역협회 상하이지부장은 “5대 키워드 관련 산업에서 다양한 변화와 함께 새로운 진출 기회가 예상되는 만큼 우리 기업들이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소득 증가, 소비자 취향 다양화, 윤리 소비 증가 등의 트렌드를 보이는 중국 소비자를 사로잡기 위해서는 이에 맞는 마케팅이 꼭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위 내용을 설명하는 아래 첨부자료는 <한국무역신문>의 기사 내용을 옮겨온 것이다.
2022.2.16일
<아판티와 함께하는 중국금융 산책>
중국 경제회복 주도하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 5가지는(220215, 무역협회).docx
0.02MB
'중국龍 이해하기 > 중국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기 GDP 1조위안 클럽 회원은 대도시 아닌 '베이징 OO區 (0) | 2022.02.24 |
---|---|
최근(21.12~22.1월) 중국경제의 동향과 전망 (0) | 2022.02.17 |
중국의 소득 불평등 현황과 재분배정책 추진에 대한 평가 (0) | 2022.02.15 |
중국의 공동부유론과 주요 규제 동향 (0) | 2022.02.14 |
2022년 중국 경제 이슈 전망과 시사점 (0) | 2022.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