沪港通(호항통)이 갖는 의의는 상하이와 홍콩 두 금융중심지 간의 합작을 통해 중국 자본시장의 종합적인 기능을 강화하고 두 금융중심지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는데 있죠. 딤섬본드, RQFII에 이어 위안화 국제화의 새로운 통로를 추가하여 홍콩의 역외 위안화 중심지 역할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본 제도로 인해 양 거래소에 투자하는 자본이 순증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기존의 자본이 상호 교차되는 수준에 머무른다면 본 제도의 효력은 빛이 바랠 우려가 있지요.
6개월의 준비기간이 있으므로 그 동안 수혜종목과 비수혜종목간의 양극화가 진행되고 양 시장간 괴리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됩니다. 다만, 홍콩주식 투자자와 상해 주식투자자의 구조적 차이, FX리스크 등의 이유로 두 시장의 가격 편차 현상이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렇게 될 경우 한국 투자자는 더욱 저렴하고 다양하게 중국 주식 투자가 가능해 질 것이고 증권회사들의 중국 본토 주식 관련 상품 출시도 기대됩니다.
'沪港通(호항통)개시의 의의와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아래 PPT자료는 중국자본시장연구회의 조찬모임에서 초상증권(서울사무소)에서 발표한 것입니다. 호항통의 실시와 함께 중국 주식에 대한 우리 투자자의 관심과 금융회사들의 상품개발이 활기를 띌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도 하루빨리 RQFII(위안화적격외국기관투자자)제도를 확대하고 역외 위안화 허브를 구축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 달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 한국을 방문한다죠? 많은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2014.6.12일
아판티와 함께하는 중국금융 산책
호항통 개시의 의의와 한국증권사의 비즈니스 기회모색(140429, 중자연4월발표).pdf
'중국금융 이야기 > 중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중소기업전용시장 발전과정 및 시사점 (0) | 2014.09.22 |
---|---|
상해-홍콩 증시 간 상호 주식투자 개방 확대 (0) | 2014.06.20 |
2014년 중국경제와 주식시장 전망 (0) | 2013.12.27 |
중국 주식시장의 특징과 평가 (0) | 2013.05.22 |
중국 PE 투자환경 변화와 2013년 전망 (0) | 2013.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