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龍 이해하기/고사성어, 추천하고픈 글

'배우는 힘'...학력(學歷)과 학력(學力) & 절차탁마(切磋琢磨)

아판티(阿凡提) 2018. 2. 10. 05:27

 

일전에, 어느 회사의 사장과 만났을 때

'사업 책임자의 임명 방식'에 관해 들었는데

그 사장의 선택 기준은 '학력(學力)'이라고 했다.

 

'학력(學力)'이란 학력(學歷)이 아닌 '배우는 힘'으로

지난주 우승한 여자 프로골퍼 우에다 모모코 씨와도 

통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했다. (359)

 

마스다 무네아키의 '취향을 설계하는 곳, 츠타야' 중에서(위즈덤하우스)

 

 

우리가 살아가면서 정말 중요한 자세는 '학력'이라는 생각을 자주 합니다. 여기서 학력은 학력(學歷)이 아니라 '학력(學力)'입니다. '배우는 힘'이지요.

 

사회생활을 시작해서, 특히 초반에는 학력(學歷)이 중요해보일 때도 있지만, 시간이 갈 수록 '학력(學力)'이 중요해집니다. 결국 '성과'를 만들어내는 원동력은 바로 그 '배우는 힘'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본의 한 사장의 생각처럼, 기업이 사업 책임자를 정할 때 그 기준은 학력(學歷)이 아닌 '학력(學力)'이 되는 것이 합리적일 겁니다. 마스다 무네아키 츠타야 대표가 '학력(學力)'을 갖고 있는 여자 프로골퍼로 우에다 모모코를 언급했더군요. 그는 상금 랭킹이 1등임에도 불구하고, 퍼트가 들어가지 않을 때는 퍼트를 잘하는 미국 선수에게 물어보았습니다. 그리고 우승을 놓친 시합이 끝나면 바로 선배인 오카모토 준코 프로에게 지도를 받았다고 하지요

 

이렇게, 1등임에도 불구하고 절차탁마(切磋琢磨:칼로 다듬고 줄로 쓸며 망치로 쪼고 숫돌로 간다는 뜻으로, 학문을 닦고 덕행을 수양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의 '배우려는 자세'를 유지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그들이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이 당연하겠지요.나는 지금 '배우려는 자세'를 갖고 있는지, 과거의 성과에 취해서, 아니면 나이를 핑계로, '배우는 힘'을 잃어버린 것은 아닌지 돌아보아야겠습니다.

 

 

위 내용은 <예병일의 경제노트>에서 빌어온 것입니다.

 

 

 

 절()은 뼈를, 차()는 상아를, 탁()은 옥을, 마()는 돌을 세공하는 방법으로 『시경()』 「위풍()」 기욱편()의 다음 시구에서 유래한다.

 

"저 치수이 강(, 기수) 모퉁이를 보니, 푸른 대나무가 무성하도다!
아름다운 광채 나는 군자여! 잘라놓은 듯하고 간 듯하며 쪼아놓은 듯하고 간 듯하다.
엄밀하고 굳세며 빛나고 점잖으니, 아름다운 광채 나는 군자여! 끝내 잊을 수 없다."
[, .
, , , .
, , .]

 

원래 이 시는 군자를 칭송한 것으로, 학문과 인격을 끊임없이 갈고 닦아 겉모습까지 완성된 것을 푸른 대나무에 빗대어 말한 것이다. 이로부터 '절차탁마'는 자신의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자세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유의어로 절치부심(), 와신상담(), 자강불식() 등의 성어가 있고, 반의어로는 깊이 이해하려고 하지 않는 다는 의미의 불구심해(), 얕게 맛보고 곧바로 그만둔다는 뜻의 천상첩지()가 있다.

 

 

 

 2018.2.10일

<아판티와 함께하는 중국금융 산책>

 1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