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중국의 시진핑(習近平) 체제 출범 이후 ‘역대 최상’이라는 말을 듣던 한·중 관계가 무겁게 가라앉아 있다. 북한 핵이 원인 제공자다. 한데 중국은 왜 북핵 불용을 외치면서도 대북제재엔 마냥 소극적인가? 중국은 또 왜 한국의 전략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면서도 한국을 외교·안보적으로 압박하는가? ‘북·중 관계 조정’과 ‘한·중 관계 발전’을 동시에 도모하고 있는 중국의 진짜 속내는 도대체 어떤 계산에서 나오는 것일까.
중국은 북핵에 반대하며 북핵 저지를 위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도 동참한다. 그러나 북한 체제의 안정을 위협하는 수준의 제재에는 거부 의사를 밝히고 있다. 한·미 주도로 이뤄지는 대북 압박으로 인해 북한 정권이 붕괴할 경우 미국과의 역내 영향력 확대 경쟁에서 불리한 입장에 설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중국이 한국에 완전히 등을 돌리기는 쉽지 않다. 중국 외교에서 한국의 전략적 가치 증대, 미·중 전략 경쟁 추세 심화, 중·일 갈등, 남중국해 문제 등과 같은 여러 역내 현안을 볼 때 한국과의 관계를 계속 심화 발전시키는 것이 중국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결국 중국은 북한의 추가적인 핵·미사일 도발에는 강력히 대처하고,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역할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과정을 역내 영향력을 강화하는 계기로 삼을 가능성이 크다.
북핵·북한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와 중국의 셈법에 차이가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중국이 한반도 문제를 미·중 간 전략 경쟁 관계의 하위구조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중국의 역할’을 과도하게 기대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우리가 대북·통일 정책에 대한 장기적 비전을 마련해 중국에 제시함으로써 한반도 문제 해결의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사기(史記)》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나오는 말이다. 진(秦)나라의 2세 황제가 즉위하던 그 해에 일어난 일이다. 진승(陳勝)과 오광(吳廣)은 시황제 이래 계속되는 폭정에 저항하여 농민군을 이끌고 대택향(大澤鄕:지금의 안후이성 기현)에서 봉기하였다[진승·오광의 난].
이때 회계(會稽)의 태수(太守) 은통(殷通)도 혼란한 틈을 이용하여 오중(吳中:지금의 장쑤성 오현)의 실력자인 항량(項梁)과 거사를 의논하였다. 항량은 초(楚)나라의 명장 항연(項燕)의 아들로 병법에 뛰어났으며, 고향에서 살인한 이후 조카인 항우(項羽)와 함께 오중으로 도망친 뒤 타고난 지도력을 발휘하여 실력자가 되었다.
|
2016.11.5일
<아판티와 함께하는 중국금융 산책>

'중국龍 이해하기 > 중국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중국을 우리는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 오리무중(五里霧中) (0) | 2016.12.07 |
---|---|
중국의 부상을 바라보는 3대시각과 대응전략 & 일각천금(一刻千金) (0) | 2016.11.25 |
남중국해 미중갈등의 정치경제학 & 배수지진(背水之陣) (0) | 2016.10.31 |
야당 견제 없는 중국 공산당이 무너지지 않는 이유는 & 마혁과시(馬革裹尸) (0) | 2016.10.18 |
중국 공산당은 중국 공자당이 될 것인가 & 대동사회(大同社會) (0) | 2016.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