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금융 이야기/중국금융 기타

중국 부채와의 전쟁 1년 & 풍전등화(風前燈火)

아판티(阿凡提) 2018. 11. 14. 05:09

중국 시진핑(習近平) 지도부가 강력하게 추진해 온 ‘부채와의 전쟁’이 1년 만에 ‘변곡점’에 맞닥뜨린 모습이다. 미국과의 무역전쟁 충격으로 중국 경제 성장률이 눈에 띄게 둔화하면서다. 경기 부양 압박에 직면한 중국 지도부의 부채 축소(디레버리징) 정책에 대한 고민도 깊어질 전망이다.

중국은 경제 자신감을 바탕으로 인민은행이 통화 긴축에 나서는 등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에 초점을 둔 경제정책을 펴나가며 그림자 금융 규제와 단속을 강화했다. 특히 과도한 부채를 짊어지고 있는 지방 정부와 국유기업이 집중 단속 대상이 됐다. 지난 3월말엔 금융권의 지방정부와 국유기업 대출을 규제하는 통지문까지 발표했다. 지방정부가 GDP를 끌어올리기 위해 무분별하게 인프라 투자에 나서는 것을 막은 것이다.

하지만 부채와의 전쟁은 중국 경제에 디폴트 급증, 실물 경기지표 둔화라는 역풍도 낳았다. 특히 디레버리징으로 국유기업보다는 중소 민영기업이 직격탄을 맞았다. 유동성 가뭄으로 자금을 조달하기도, 채무를 상환하기도 어려워진 중소 민영기업의 디폴트가 줄줄이 이어진 것.  시장조사업체 윈드사 통계에 따르면 올 들어 9월까지 민영기업이 전체 디폴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5%에 달했다. 지방정부 인프라 투자도 급격히 식으면서 올 1~9월 중국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5.4%, 23년래 최저치에 근접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올 7월부터 미·중 무역전쟁이 본격화하면서 중국 경제는 심각한 하방 압력에 직면하기 시작했다.

‘성장률 쇼크’에 올 한해 중국 지도부의 경제성장률 '6.5% 사수'에도 비상이 걸렸다. 물론 6.5% 성장률은 중국 지도부가 올 초 세운 목표치에는 부합하는 수준이지만 향후 무역전쟁이 격화하면서 경제 성장률은 한층 더 둔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아시아개발은행(ADB)은 미·중 무역전쟁으로 중국 GDP 성장률이 1%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보기도 했다.

성장률 방어를 위해 중국 지도부는 최근 들어 디레버리징 정책에서 유동성을 공급하는 통화 완화 정책으로 조금씩 선회하는 모습이다. 인민은행은 지난 15일부터 일부 은행권 지급준비율을 1% 포인트 인하해 시중에 7500억 위안( 1229400억원)의 유동성을 순공급했다. 올 들어서만 벌써 네 차례 지준율 인하를 단행한 것이다. 인민은행은 “안정적이고 중립적인 통화정책 기조 유지”를 연일 강조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지준율 인하로 은행권 대출을 늘리는 것은 사실상 빚에 의존해 경기 부양을 하는 것이란 지적이 흘러나왔다.

시티은행도 최신 보고서를 통해 중국 디레버리징이 잠정 중단되면 중국 GDP 대비 부채율이 연말까지 12.3% 포인트 늘어난 274.5%에 달할 것으로 관측했다. 지난해 소폭 하락한 중국 GDP 대비 총 부채율이 올해 반등할 것이란 이야기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시진핑 지도부의 부채와의 전쟁이 1년 만에 풍전등화(風前燈火: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뜻으로, 존망이 달린 매우 위급한 처지를 비유 )의 시험대에 놓인 셈이다.

 

위 내용을 설명하는 아래 첨부자료는 <아주경제>의 기사를 빌어온 것이다.

 

 

 

 풍전등촉()·풍전지등()으로도 쓴다. 사람의 운명이 어떻게 될지 모를 정도로 매우 급박한 처지에 있음을 등잔불이나 촛불이 바람 앞에서 언제 꺼질지 모르게 껌벅거리며 나부끼는 모습에 빗대어 표현한 말이다.

'국가의 운명이 풍전등화에 처했다.', '풍전등화에 처한 나라를 구하기 위해 자원 입대하였다.' 등이 쓰임의 예이다.

이처럼 존망이 달린 매우 위급한 처지를 비유하는 한자성어는 풍전등화 외에도 여럿이 있다. 포개 놓은 달걀처럼 몹시 위태로운 형세를 일컫는 누란지세()·누란지위()·위여누란(),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끝에 있는 것처럼 매우 위태로움을 일컫는 백척간두(竿)·간두지세(竿)도 같은 뜻이다.

 

 

2018.11.14일

<아판티와 함께하는 중국금융 산책>

 

 

중국 부채와의 전쟁 1년(181024, 아주경제).docx

2168

 

 

중국 부채와의 전쟁 1년(181024, 아주경제).docx
0.07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