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龍 이해하기/중국 문화

한국과 다른 중국 짐수레

아판티(阿凡提) 2014. 3. 28. 20:38

요즘은 거의 모든 한국 기업이 중국 내수시장 진출에 사활을 걸고 있죠. 내수시장 진출을 위한 키워드는 당연히 '현지화'입니.  그럼 '현지화'는 어디에서부터 출발해야 할까? 현지 인력 고용은 걸음마 수준에 불과합니다. 진정한 현지화는 '나의 것(한국)'이 아닌 '남의 것(중국)'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죠.

 
중국과 오랜 인연을 맺어온 한국인들은 '도구'에서 두 나라의 차이를 보다. 예를 들어 무거운 짐을 운반할 때 사용하는 짐수레(리어카)를 보면 한국 짐수레는 사람이 앞을 보고 짐칸은 뒤에 붙어있습니다. 반면 중국은 짐칸이 앞에 있고 사람이 짐을 보면서 운반하죠. 처음에는 중국의 짐수레가 의심 많은 중국 사람의 성향을 반영하여 절도를 감시하기 위한 방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이런 목적도 있겠지만 최근에야 중국의 짐수레가 실용성 측면에서 한국의 짐수레보다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았죠. 무게중심을 앞에 두어 출발은 힘들지만 일단 움직이면 오히려 운전하기 쉽고 힘도 덜 듭니다.

농촌에서 많이 쓰는 낫과 삽도 모양새가 다르죠. 한국 것은 자루가 짧고 중국 것은 자루가 상대적으로 깁니다. 작업능률은 한국 것이 월등하지만 달리 생각하면 작업능률을 높이기 위해 사람이 그만큼 힘을 써야 하고 그렇게 하려면 허리를 이용해야 하죠. 반면 중국 것은 작업능률은 다소 떨어지지만 허리를 덜 사용하므로 피로도가 덜합니다.

 
한국의 도구는 작업능률 향상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반면, 중국의 도구는 사람이 힘을 덜 쓰고 편하도록 고안됐다는 점이 아이러니합니다. 중국이 '인본주의', 한국이 '능률주의'라고 단언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이렇게 근본적인 생각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중국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은근히 중국 문화를 깔보는 시각을 벗어던져야 중국 시장도 우리 기업에게 문을 열어줄 것입니다.

 

위에 소개한 글은 코트라 선양무역관 백인기 관장이 기고한 것을 옮겨온 것입니다. 같은 듯 하면서도 다르고, 다른 듯 하면서도 같은  것이 중국 문화입니다. 중국에 대한 우리의 오해는 거리의 인접성과 생김새의 비슷함으로 상대국도 비슷할 것이라는 오해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허다하죠. 서로의 다름을 인정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2014.3.29일

아판티와 함께하는 중국금융 산책

 

 

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