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정만리(鵬程萬里) 25

2025년까지 160조 투입 '한국판 뉴딜', & 붕정만리(鵬程萬里)

2025년까지 160조원 넘는 막대한 재원이 투입될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가 드디어 그 모습을 드러냈다. 한국 경제의 체질을 바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할 마중물이 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은다. 코로나19의 글로벌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세계 경제는 경험하지 못한 불확실성에 직면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금의 위기를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기침체라고 진단했다. 코로나19 대유행과 재확산 우려 속에 IMF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9%로 제시했다. 나아가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를 조기에 극복하고 코로나19 이후 경제·사회 전반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취..

미·중 무역전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 붕정만리(鵬程萬里)

0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나라인 한국은 수출시장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부정적 경제 영향(GDP 성장율 하락 등)이 확대될 전망 0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중간재(79.5%), 자본재(16.6%) 비중이 높고 중국의 경제상황에 크게 영향받은 구조로 최근 중국의 ..

플랫폼 비즈니스의 네트워크 효과 & 붕정만리(鵬程萬里)

새로운 기술적 발전으로 인해 탈규모의 경제(economies of unscale)로 성장의 축이 이동하고 있다. IT 발전으로 자산을 빌려 쓸 수 있게 되고 AI, 빅데이터 기술 발달로 개개인의 니즈에 맞춘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시장이 더 세분화되면서 탈규모의 경제로 무게 중심이 옮겨지고 있다. 그 동..

웨강아오 대만구 발전 전망과 시사점 & 붕정만리(鵬程萬里)

o2019년 2월에 공포된 「웨강아오 대만구 발전규획강요」는 광둥성-홍콩-마카오간 통합화 작업이 중앙정부 차원에서 본격 착수됐음을 의미 - 특히 ‘일국양제’를 적용하는 홍콩과 마카오를 통합대상으로 한 것은, 중국에게는 쉽지 않은 난제임을 의미 o1단계 2022년, 2단계 2035년이라는 ..

AI,발견의 시대에서 실행의 시대로 & 붕정만리(鵬程萬里)

딥러닝의 불씨를 지핀 것은 서구이지만, 불붙은 AI가 만들어내는 열기의 최대 수혜자는 중국일 것이다. 세상은 두 가지 시대적 변화를 맞이했다. 세상은 발견의 시대(age of discovery)에서 실행의 시대(age of implementation)로 바뀌었고, 전문지식의 시대(age of expertise)에서 데이터의 시대(age of data)..

신 남방정책 추진 경과와 방향 & 붕정만리(鵬程萬里)

○ 신남방정책은 아세안· 인도와의 협력관계를 4 강 미 중 일 러 수준의 정치 외교 경제 관계로 격상하려는 정부의 핵심 대외정책임 - 정부의 100 대 국정과제 ((’17.7 월 발표 의 하나인 동북아플러스 책임공동체 형성 을 위한 3 대 실천과제 신남방정책 신북방정책 동북아평화협력플랫폼..

상하이-독일 주식 교차거래 ‘후더퉁’ 개시되나 & 붕정만리(鵬程萬里)

중국 증권시보는 독일과 중국이 후더퉁 개통을 위한 실무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보인다는 내용의 기사를 게재했다. 이는 앞서 지난 18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독일 고위급 재무대화’에서 양국의 금융 거래 확대 관련 공동성명 발표에서 비롯된 것이다. 성명에는 독일과 상하이 ..

입지를 넓혀가는 중국 인터넷전문은행 & 붕정만리(鵬程萬里)

인터넷전문은행이란 일반적으로 인터넷 기업을 대주주로 삼아 디지털통신, 인터넷, 이동통신 및 사물인터넷 기술 등을 활용해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등을 통한 온라인에서의 예금, 대출, 결제, 결산, 계좌이체, 전자 유가증권, 계좌관리, P2P금융, 투자 및 재테크 등을 간편하고 안전..

금융결제 인프라 혁신 속도...한국판 '알리페이' 나올까 & 붕정만리(鵬程萬里)

은행만 사용해왔던 금융결제망이 간편결제 사업자에게도 개방되고, 사업자가 내야 하는 망 이용료도 대폭 낮아질 전망이다. 최근 이같은 내용의 '금융결제 인프라 혁신 방안'이 발표되자 국내에도 매달 5억명이 쓰는 중국의 알리페이 같은 서비스가 나올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우리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