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111

2022년 중국 1선 도시의 상업 매력지수 순위

○ 2022년 6월 1일 중국 언론사 제일재경(第一财经)과 신 1선 도시연구소(新一线城市 研究所)는 도시상업 매력 지수를 기준으로 신 1선 도시(新一线城市) 순위를 발표함. - 주요 소비브랜드 170개 지점, 17개 인터넷기업이 수집한 고객 행동 데이터와 도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337개 이상 도시의 ‘도시상업 매력 지수’를 산출함. ∙ 도시상업 매력 지수는 상업자원 밀집도, 도시 거점화, 도시인구 유동성, 생활방식 다양성, 미래 잠재력 등 5개 항목으로 평가 ○ 1선 도시 순위는 상하이가 141.8로 1위, 베이징이 137.69로 2위를 차지함. - 광저우와 선전이 각각 108.16, 103.42로 그 뒤를 이음. ○ 2022년 신 1선 도시에 청두(成都), 충칭(重庆), 항저우(杭州), 시안(西安),..

미ㆍ중 갈등시대 중국의 통상전략 변화와 시사점

▶ 중국 경제발전 단계의 전환기에 미국의 대중국 견제가 심화됨에 따라 중국의 경제ㆍ통 상 전략 패러다임의 큰 전환이 이뤄지고 있음. - 미국의 대중국 전략을 종합하자면 ① 국가안보ㆍ경제안보적 차원에서의 접근 ② 가 치ㆍ신뢰 동맹국과의 대중국 연합전선 구축 ③ 높은 수준의 국제규범 도입과 신통상 규범 수립을 통한 국제질서 주도 등으로 요약됨. ▶ 중국은 미국의 견제에 대응하여 ① 경제안보 강화 ② 지역 네트워크 구축 ③ 글로벌 통상 거버넌스 주도 등의 통상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 중국은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경제안보를 고려한 ‘쌍순환(双循 环, Dual Circulation)’ 전략을 제시했고 이에 따라 공급망 안정, 핵심 기술 및 부품의 자주화, 전략물자 관리 강화, 내수시장 확대..

신정부 대중국 정책전망 및 제언

2022년 8월에 수교 30주년을 맞는 한중관계는 경제, 사회·문화, 정치, 군사٠안보 등 각 분야 에서 다양한 굴곡이 있었으며, 특히 2016년 7월 이후 한국 내 사드(THAAD) 배치 현안으로 냉각된 양자 관계는 아직 완전히 개선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교 당시와 비교해 본다면 전반적으로 한중관계는 각 분야에서 일정 수준의 발전을 이루어 낸 것도 사실이다. 최근 미중관계의 변화에 따라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의 대중국 외교는 ‘안미경중(安美經中)’의 틀을 바탕으로 ‘전략적 모호성 (또는 신중성)’을 통해 미중 사이의 민감 하고 중요한 현안에서 한국 나름의 외교적 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 왔다. 하지만 점차 심화되는 전략적 경쟁 구도 하에서 ‘모호성’이 작동할 수 있는 여건..

시진핑 3연임 확정 아니었나?

중국공산당은 5년마다 한 번씩 전당대회를 개최한다. 올해 10월 또는 11월에 개최 예정인 제20차 전당대회(전국대표대회)에는 모두 2300명의 대표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현재 중국 전역 38개 선거구에서 당대표 선거가 진행 중이다. 전국에서 선출된 당대표들은 베이징에 모여 300명 안팎의 중앙위원을 선출한다. 5년 임기인 중앙위원들은 자신들 가운데 30명 안팎으로 구성될 정치국, 10명 미만인 정치국 상무위원회와 당총서기 1명을 선출한다. 올해 당대회에서 결정해야 할 핵심 의제는 시진핑(習近平) 당총서기의 3연임 여부다. 시진핑은 2012년 11월 열린 제18차 당대회에서 당총서기로 선출됐고, 2017년 두 번째로 선출됐다. 2019년 말 현재 중국공산당원은 9191만여 명이다. 1억명에 가까운 중국공..

윤학을 아시나요?

윤학이란 최근 중국에서 떠오르는 유행어다. 한자 '윤택할 윤(潤)'의 중국식 발음인 '룬(rùn)'이 '도망치다·탈출하다'라는 의미의 영어 단어 'run'과 같은 표기인 데서 비롯됐다. 중국 젊은 세대들은 'RUN'에 '학문'을 뜻하는 학(學)을 붙여 중국을 탈출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중국 젊은 세대의 모습을 잘 반영해줬던 '탕핑(躺平·이생망)', '네이쥐안(內卷·질적 성장 없이 소모적인 경쟁)' 등 유행어와 비슷하다. 탕핑과 네이쥐안 모두 세속적인 삶에서 벗어나 아르바이트로 최소한의 생계를 이어가더라도 나만의 삶을 온전히 누리겠다는 가치관이 내재돼 있다. 일각에선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중국의 제로 코로나 방역 정책이 이같은 현상을 부추겼다는 관측도 나온다. 거듭된 봉쇄로 인한 경제..

新중산층으로 떠오른 중국 블루칼라

오늘날 블루칼라(기술직)와 화이트칼라(사무직) 간 뒤바뀐 처지가 최근 중국 온라인매체 제몐망에 소개됐다. 중국의 첨단 제조업 육성 전략에 숙련 기술노동자 수요가 높아지며 블루칼라는 새로운 중산층으로 떠오르는 반면 ‘학력 인플레이션’으로 일자리 구하기도 어려운 화이트칼라는 새로운 저소득층으로 추락하고 있다는 것. 기술 중시의 변화 속에서 기술직과 사무직의 지위가 역전되고,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의 경계도 모호해지고 있다고 제멘망은 보도했다. 중국 고용시장에서 블루칼라와 화이트칼라 사이에 심각한 수급 불균형이 초래된 데는 여러 가지 배경이 존재한다. 우선 중국 경제 구조가 업그레이드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 지도부의 첨단 제조업 육성 정책에 따라 '전정특신(專精特新)' 기업이 뜨고 있다. 전정특신은 전문..

최근 중국의 거시정책 대응 현황 및 영향

 [현황] 최근 중국은 국가 주도의 투자 확대를 추진하면서 기존의 부동산 및 IT 규제를 완화하고 민간 소비를 장려하는 등 경기 부양책을 크게 강화  [전망] 확장적인 재정정책을 지속하는 한편, 금융 리스크를 관리하면서 상대적으로 신중한 통화정책을 견지할 전망  [영향] 중국의 투자 확대와 재정지원 등에도 불구하고 효율성이 저하되면서 과거에 비해 경기부양 성과가 제한되는 가운데, 금년 성장률도 4% 초반에 그칠 가능성 우세  [평가] 단기적으로 중국의 경기부양책이 일정 성과를 거두겠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성장 동력이 약화되면서 빈부격차 등 내재된 사회불안이 노출될 가능성이 잠재 위 내용을 설명하는 아래 첨부자료는 의 발표 자료를 옮겨온 것이다. 2022.7.5일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에 따른 상하이 봉쇄는 공급망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미중 경제관계의 변화로 인해 이미 진행 중인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코로나 팬데믹, 디지털경제 전환, 탄소중립 기조가 가세하여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은 ‘탈중국화’, ‘프렌드쇼어링’ 전략을, 중국은 ‘쌍순환’, ‘공급망 취약국과의 연대’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우리도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파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급망 탄력성 제고, 첨단 원천기술의 경쟁력 유지·강화 노력이 필요하다. 위 내용을 설명하는 아래 첨부자료는 의 발표 자료를 옮겨온 것이다. 2022.7.4일

중국이 '제로코로나'에서 얻을 교훈은

첫째, 허청뮤우(合成謬誤), 우리말로 ‘합성의 오류(fallacy of composition)’다. 부분이 옳으면 전체도 옳다고 주장하는 데서 나타나는 게 합성의 오류다. 최근 중국은 학생의 학업 부담과 학부모의 사교육비, 이 두 가지를 줄이겠다는 이른바 '솽젠(雙減·쌍감)' 정책을 비롯해 전력 제한, 빅테크(대형 인터넷기업) 단속, 부동산 규제, 플랫폼 반독점 등 각종 정책을 줄줄이 쏟아냈다. 쑨 주임은 “개별 정책을 하나씩 놓고 보면 문제가 없지만, 이것을 한꺼번에 집중적으로 시행하다 보니 문제가 생겼다”며 “이로 인해 경제에 하방 압력이 커졌다”고 ‘허청뮤우’를 시인했다. 마치 몸 전체의 조화를 고려하지 않고 각 부분에 좋다는 처방을 내리다가 오히려 몸을 망가뜨린 꼴이다. 사실 최근 전 세계 각국이..

중국의 외국인 증권자금 유출세에 대한 홍콩 금융시장의 평가

□ 최근 중국의 외국인 증권자금 순유출이 채권자금을 중심으로 지속되는 가운데 유출 규모가 과거 2015~16년 중국 금융불안 당시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모습 ㅇ 금년 3~4월중 외국인 증권자금 평균 순유출액(1,300억위안)은 당시 월간 최대 순유출액(610억위안, 2016.1월)을 대폭 상회하고 있으며 장기투자성 향의 자금이 유출을 주도하는 것으로 전언 □ 이는 제로코로나 정책의 부정적 영향과 함께 부동산 산업 등 중국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이 재부각된 가운데 내외금리차 역전 지속 전망* 등에 주로 기인 * 미중 10년물 국채금리가 최근 역전되었으나 연준의 금리인상 지속에도 불구하고 인민은행은 제로코로나 및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 때문에 적절한 통화정책 대응이 어려운 상황 ㅇ 또한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